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57

가상칠언 묵상 7)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아버지여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누가복음 23장 46절에 기록된 "아버지여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는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마지막 일곱 번째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절망의 외침이 아니라, 철저한 신뢰와 사랑, 그리고 순종으로 가득한 고백입니다. 예수님은 대속 사역을 완수하시고, 자신의 영혼을 아버지께 온전히 맡기시며 평안과 확신 속에서 죽음을 맞이하십니다. 이 고백은 구속사의 마지막을 장식하며 동시에 부활과 영원한 생명을 예고하는 신앙의 절정입니다. 시편 31편의 인용과 예수님의 기도예수님은 십자가 위에서 인류 구원을 완성하신 후, 마지막으로 시편 31편 5절의 말씀을 인용하셨습니다. "내가 나의 영을 주의 손에 부탁하나이다." 이 구절은 다윗이 고난 가운데 하나님을 신뢰..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6) 다 이루었다

다 이루었다요한복음 19장 30절의 "다 이루었다"는 말씀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여섯 번째 말씀입니다. 이 짧은 한 마디 속에는 인류 구원의 완성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하나님께 받은 사명을 모두 성취하셨음을 선포하는 승리의 선언이며, 구속사 전체의 완결을 알리는 영적 절정의 고백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우리는 십자가가 패배가 아닌 완전한 승리의 자리가 되었음을 깨닫게 됩니다.성경 전체를 꿰뚫는 구속사의 완성"다 이루었다"는 말씀은 단순한 죽음의 직전 고백이 아닙니다. 이는 창세기에서부터 시작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십자가에서 완전히 성취되었음을 알리는 선언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 인류는 하나님과 단절된 상태에서 살게 되었고, 하나님은 인류를 다시 회복하시기 위한 구원의 ..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5) 내가 목마르다

내가 목마르다요한복음 19장 28절에 기록된 "내가 목마르다"는 말씀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다섯 번째 말씀입니다. 이는 단순한 육체적 고통의 표현을 넘어서, 구약의 예언을 성취하시고 구속의 완성을 이루시기 위한 예수님의 철저한 순종과 헌신을 담고 있습니다. 생명의 근원이신 예수님께서 인류의 갈증을 대신하여 고통을 당하심으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구속의 은혜가 완전하게 마무리되어 가는 순간을 보여주는 깊이 있는 고백입니다. 구약의 예언과 성취의 연결요한복음 19장 28절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 후에 예수께서 모든 일이 이미 이루어진 줄 아시고 성경을 응하게 하려 하사 이르시되 내가 목마르다 하시니." 이 짧은 구절 속에는 구속사의 흐름이 압축되어 있으며, 단지 육체적 고통의 호소로만 이..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4)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마태복음 27장 46절과 마가복음 15장 34절에 기록된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는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네 번째 말씀입니다. 이는 시편 22편 1절을 인용하신 말씀으로, 단순히 절망의 외침이 아닌, 대속의 절정에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충돌하는 순간을 보여주는 깊은 구속사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 외침을 통해 우리 대신 하나님의 진노를 감당하시고, 버려진 자의 자리에서 구원의 문을 여신 것입니다.시편 22편과 예수님의 외침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절규하신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뜻입니다. 이 구절은 시편 22편 1절의 직설적인 인용이며, 예수님께서 고통 ..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3) 보라 네 어머니라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보라 네 어머니라요한복음 19장 26-27절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어머니 마리아와 사랑하는 제자 요한을 향해 하신 세 번째 말씀입니다.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보라 네 어머니라"는 이 말씀은 혈연 중심의 기존 가족 질서를 넘어 새로운 영적 공동체의 탄생을 선언하는 말씀이며, 예수님의 고난과 대속의 사역 안에서 공동체를 회복하시려는 하나님의 뜻이 드러나는 장면입니다. 이 말씀은 구속사 안에서 교회 공동체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이해됩니다.십자가 아래의 마리아와 제자 요한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참혹한 고통을 당하시던 그 순간, 그분의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몇몇 여인들이 그 아래에 서 있었습니다. 이들은 죽음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를 떠나지 않았..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2)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누가복음 23장 43절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린 강도 중 하나에게 하신 두 번째 말씀입니다.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는 이 약속은 회개하는 죄인에게 주시는 구원의 확신이며, 십자가 위에서 즉각적인 용서와 구속의 은혜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이 말씀은 믿음으로 나아가는 자에게 영원한 생명이 주어지는 구속사의 결정적 장면입니다.십자가 위의 두 강도와 인간의 상반된 반응예수님의 좌우편에는 두 강도가 함께 십자가에 달려 있었습니다. 동일한 고통의 자리였지만, 이 두 사람은 전혀 다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한 사람은 예수님을 조롱하며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고 말했고, 다른 한 사람은 그의 죄를 인정하고 예수님께 자비를 구했습니다. ..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架上七言) 묵상

가상칠언(架上七言, The Seven Last Words of Jesus on the Cross)가상칠언에 대한 구속사적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확장한 설명입니다. 각 말씀은 단지 십자가 위에서의 유언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단계적 성취를 보여주는 영적 메시지입니다. 여기서는 각 말슴에 대한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해설 하단에 각 주제에 대한 묵상글을 링크 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을 링크된 글을 확인 바랍니다.1.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누가복음 23:34)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며 첫 번째로 하신 말씀은 자신을 향해 죄악을 행하는 이들을 위한 용서의 기도였습니다. 이 말씀은 단순한 인간적인 동정이나 자비를 넘어, 십자가의 중심 메시지가 ‘용서’임을 보여줍니다. 이때 사용된 헬라어.. 성경묵상 2025. 4. 13.

가상칠언 묵상 1)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누가복음 23장 34절 "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는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첫 번째 말씀으로, 자신을 십자가에 못 박은 자들을 위한 용서의 기도입니다. 이 말씀은 고통과 수치 속에서도 죄인을 위한 중보자의 사랑을 드러냅니다. 예수님의 기도는 죄 사함의 본질을 밝히며, 인류 구원의 출발점이 됩니다. 또한 십자가 고난의 중심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동시에 보여주며, 신자들에게 참된 용서와 자비의 본을 제시합니다.죄인을 위한 기도, 중보자의 사랑"아버지여, 저희를 사하여 주옵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눅 23:34). 이 구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위 첫 말씀이자, 고난의 서막을 여는 말씀입니다. 인간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성경묵상 2025. 4. 13.

마 13:53-58 묵상, 고향에서 거절 당하신 예수님

익숙함 속의 거절, 은혜를 가로막는 마음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본문은 마태복음 13장 53절부터 58절까지입니다. 이 본문은 예수님께서 천국 비유들을 마치시고 고향 나사렛으로 돌아가신 후, 그곳에서 어떤 반응을 받으셨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구속사의 정점이신 예수 그리스도, 천국의 말씀을 전하시고 수많은 기적을 행하신 그분조차도, 가장 가까운 이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하셨다는 이 장면은 오늘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은혜는 어디에서 거절당합니까? 은혜는 낯선 이들보다, 오히려 가장 익숙한 관계 속에서 더 자주 거절당합니다. 오늘 본문은 바로 그런 현실을 보여줍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진리가 어떻게 우리의 편견과 익숙함 속에서 가려지는지를 살펴보고, 은.. 성경묵상 2025. 4. 6.

마 13:51-52 묵상, 천국 제자 된 서기관

새것과 옛것, 제자도의 창고에서 나오는 보화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말씀은 마태복음 13장 51절과 52절입니다. 짧은 두 구절이지만, 이 말씀은 천국 비유들 전체를 마무리짓는 예수님의 의도와, 제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예수님은 여러 비유로 천국을 설명하신 후 제자들에게 묻습니다. "이 모든 것을 깨달았느냐?" 그리고 이어서, 천국에 제자로 훈련된 서기관은 마치 자기 창고에서 새것과 옛것을 꺼내는 가장과 같다고 말씀하십니다. 이것은 단순한 요약이나 회고가 아니라, 제자도의 핵심, 곧 말씀을 가슴에 담고, 시대를 분별하며, 진리를 섬세하게 풀어내는 사명을 가진 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말씀입니다.오늘 이 비유를 통해, 예수님께서 기대하시는 참.. 성경묵상 2025.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