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7

마 21:12-17 묵상

거룩한 분노, 사랑의 정화사랑하는 여러분, 고난주간의 두 번째 날에 우리는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보이신 놀라운 행동, 성전 정화 사건을 마주하게 됩니다. 마태복음 21장 12절부터 17절까지의 이 본문은 예수님의 성품 중 우리가 자주 간과하는 단호함과 거룩한 분노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분노는 파괴를 위한 것이 아니라, 회복을 위한 것이며, 심판이 아니라 구원을 위한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장면을 통해 예수님의 마음속 가장 깊은 곳에 흐르는 사랑의 긴장을 마주하고자 합니다. 그 사랑은 십자가를 향해 걸어가는 길목에서, 우리가 잊은 거룩을 다시 불러내고 있습니다.상을 뒤엎으신 이유 (마 21:12)예수님께서 성전에 들어가셔서 매매하는 모든 사람들을 내쫓으시고, 돈 바꾸는 자들의 상과 비둘기 파는 자들의.. 성경묵상 2025. 3. 30.

마 21:1-11 묵상

종려나무 가지 아래, 구속의 왕이 오신다고난주간이 시작되면 우리는 종려주일로 그 첫 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사람들은 나뭇가지를 흔들며 외칩니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마 21:9) 그러나 이 찬양의 함성은 머지않아 "그를 십자가에 못 박으라!"는 외침으로 뒤바뀌게 됩니다. 오늘 우리가 묵상할 본문은 마태복음 21장 1절부터 11절까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시는 장면입니다. 이 본문은 단순한 입성이 아니라, 구속사의 정점으로 향하는 예수님의 의도적이고 거룩한 발걸음입니다. 주님의 이 마지막 여정은 우연이 아닌 예언의 성취이며, 단순한 방문이 아닌 구원의 문을 여는 입성입니다.감람산 자락에서 들려오는 조용한 전복 (마 21:1-3)예수님은 예루살렘에 가까이 이르러 감람산 벳바게에 다다르시자.. 성경묵상 2025. 3. 30.

고난주간 묵상, 요 13:5, 허리를 동이고 무릎을 꿇다

수건을 두르신 주님의 사랑고난주간의 어둠이 깊어가는 밤, 예수님은 조용히 식탁에서 일어나셨습니다. 그리고 대야에 물을 담아 제자들의 발을 씻기기 시작하셨습니다. 요한복음 13장 5절은 그 장면을 이렇게 기록합니다. “이에 대야에 물을 떠서 제자들의 발을 씻으시고 그 두른 수건으로 닦기를 시작하여.” 이 장면은 단순한 친절의 표시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왕이신 주께서 종의 자리로 내려오신 사건이며, 십자가의 사랑을 예고하는 깊은 상징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발 씻음 앞에서, 복음의 본질과 제자의 길을 다시 묵상해야 합니다.허리를 동이고 무릎을 꿇다예수님은 만찬 도중에 일어나 겉옷을 벗고 수건을 허리에 두르셨습니다. 겉옷을 벗는다는 것은 자신의 지위를 내려놓는 행위였고, 수건을 두른다는 것은 종의 복장을 갖춘.. 성경묵상 2025. 3. 26.

고난주간 묵상, 마 26:26, 마지막 만찬이 갖는 의미

떡을 떼어 주시며 말씀하시다고난주간의 밤, 마지막 만찬 자리에서 예수님은 떡을 들어 감사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셨습니다. “받아서 먹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마 26:26) 그날 밤은 어둠이 짙었고, 예수님의 마음은 무거웠지만, 주님은 조용히 떡을 떼어 주셨습니다. 그것은 단순한 식사가 아니었고, 단지 유대 절기를 지키는 형식도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의 약속이었고, 하나의 사랑의 유산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 속에서 고난주간의 깊은 뜻과 복음의 본질을 다시 마주해야 합니다.떡을 떼시고본문은 말합니다.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아서 먹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여기서 ‘떡’은 유월절 식사에서 사용하는 무교병이었을 것입니다. 누룩이 .. 성경묵상 2025. 3. 26.

고난주간 묵상, 막 14:10-11, 악들의 연합 하지만

팔리는 스승, 연합된 어둠고난주간의 무게는 예수님의 육체적 고통에서만 오지 않습니다.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은 사랑했던 이들의 배신에서, 진리를 입에 담는 자들의 교활한 계산에서 비롯됩니다. 마가복음 14장 10-11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여정에 결정적인 그림자를 드리웁니다. “열둘 중의 하나인 가룟 유다가 예수를 넘겨 주려고 대제사장들에게 가매, 그들이 듣고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약속하매 유다가 예수를 어떻게 넘겨줄까 하고 그 기회를 찾더라.” 짧은 이 구절은 가장 깊은 배신과 가장 교활한 공모의 정점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 앞에서 유다의 가벼운 마음과 종교 지도자들의 무거운 음모를 동시에 마주하게 됩니다.가벼운 영혼, 무거운 죄의 길가룟 유다는 예수님의 제자였습니다. 열둘 중 하나였습니다. 공생애 내내 .. 성경묵상 2025.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