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7

2025년 4월 13일 둘째 주일 대표기도문 2

고난주간 둘째 주일 낮 예배 대표기도문2지존하신 하나님 아버지,오늘도 이 거룩한 주일,주의 날개 그늘 아래 저희를 모아 주시니감사와 찬송을 올려드립니다.주의 백성으로 택하여 주시고,말씀의 빛을 따라 살아가게 하시며,이처럼 거룩한 성소에 나와 예배할 수 있는복된 특권을 허락하신 은혜를 찬양합니다.세상은 흔들리고 마음은 연약하지만,주님의 변함없는 신실하심은오늘도 저희의 반석이 되십니다. 난주간을 지나며다시금 십자가의 언덕을 바라봅니다.주님, 주의 고난 앞에 서며마음이 뜨거워지게 하소서.세상 구원을 위해 살과 피를 내어주신 그 사랑을더 이상 낡은 지식이 아닌,가슴 깊이 새기는 은혜의 체험이 되게 하옵소서.하지만 돌아보니 지난 한 주도주의 은혜를 가볍게 여기며교만과 탐욕으로 살아온 날들이었습니다.기도보다 한숨을.. 다양한기도문 2025. 3. 30.

2025년 4월 13일 둘째 주일 대표기도문

2025년 4월 13일 둘째 주일 대표기도문영원부터 영원까지 스스로 계신 거룩하신 하나님 아버지,복되고도 거룩한 주일 아침, 우리를 불러 주의 전으로 인도하여 주심을 감사드립니다.허물 많고 연약한 저희들을 십자가 은혜로 품으시고,하늘 문을 여시어 생명의 길로 이끄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이 시간 주의 영광을 사모하며 나아오니, 우리의 예배를 기쁘게 받아 주옵소서.창조의 주께서 육신을 입고 이 땅에 오시사,고난의 잔을 기꺼이 마시고 십자가의 길을 걸으신 예수 그리스도,그 사랑을 깊이 묵상하는 이 고난주간에,우리의 마음이 무뎌지지 않게 하시고, 십자가 아래에서 다시 깨어나게 하소서.죄 없으신 주께서 죄인의 모습으로 고난을 당하셨으나저희는 지난 한 주간도 주의 은혜를 망각한 채,세상의 정욕과 교만, 시기와 미움.. 다양한기도문 2025. 3. 30.

마 24:1-2 묵상, 성전이 무너질 것이다

무너질 때 드러나는 것사랑하는 여러분, 고난주간의 길을 함께 걷다 보면 우리는 자연스레 예루살렘 성전을 마주하게 됩니다. 화려하고 웅장하며, 눈부시게 빛나던 그 성전은 유대인들에게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이었고, 율법의 중심이었으며, 신앙의 정체성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본문, 마태복음 24장 1절과 2절에서 예수님은 놀라운 선언을 하십니다. 바로 그 성전이 무너질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짧은 장면은 그 자체로 충격적인 예언일 뿐만 아니라, 고난주간 전체를 꿰뚫는 구속사의 열쇠이기도 합니다. 주님은 무엇이 무너져야 참된 것이 드러나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주십니다.화려한 건축물, 가려진 본질 (마 24:1)본문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예수께서 성전에서 나와서 가실 때에 제.. 성경묵상 2025. 3. 30.

마 23:37-39 묵상,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날개 아래의 사랑사랑하는 여러분, 고난주간을 따라 걷다 보면 어느 순간 우리도 말없이 멈춰 설 수밖에 없는 자리에 이르게 됩니다. 그것은 고통의 절정이 아니라, 사랑의 절규가 들리는 자리입니다. 오늘 우리가 마주할 마태복음 23장 37절부터 39절까지의 말씀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을 향해 마지막으로 부르짖으신, 절망과 애통이 담긴 사랑의 외침입니다. 지금 주님은 십자가를 코앞에 두고 계십니다. 그런데도 이토록 가슴 아프게 외치신 이유는 단 하나, 끝까지 사랑하셨기 때문입니다.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마 23:37)예수님은 반복하여 부르십니다.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선지자들을 죽이고 네게 보낸 자들을 돌로 치는 자여..."(마 23:37) 이 반복된 부름은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닙니다. 그것은 마치 사.. 성경묵상 2025. 3. 30.

마 23:23-24 묵상, 하루살이는 걸러내고

빠진 것의 무게사랑하는 여러분, 고난주간을 따라가는 발걸음은 점점 더 깊은 성찰을 요구합니다. 십자가의 그늘 아래서 우리는 단지 고통을 묵상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시선으로 우리 신앙을 들여다보아야 합니다. 마태복음 23장 23절과 24절은 예수님의 일곱 가지 화(禍) 중에서도 가장 날카롭고 정곡을 찌르는 선언 중 하나입니다. 이 짧은 구절 안에, 예수님은 종교적 형식주의가 얼마나 본질을 망각하게 만드는지, 그리고 우리가 신앙의 중심에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를 예리하게 밝혀주십니다.오늘 이 말씀은 단순한 지적이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을 놓치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드러내는 고난주간의 거울입니다. 주님의 눈물이 담긴 이 책망 속에서, 우리는 잃어버린 중심을 다시 찾아야 합니다.율법의 잎사귀만 붙잡.. 성경묵상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