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성경묵상181

에스겔 37장 5절, 마른 뼈에 생기가

내가 생기를 너희에게 들어가게 하리니부활 주일을 맞아 우리는 죽음을 생명으로 바꾸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깊이 묵상하고자 합니다. 에스겔 37장 5절의 말씀은 절망의 골짜기에서 시작하여 생명의 약속으로 나아가는 놀라운 회복의 선언입니다. “주 여호와께서 이 뼈들에게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내가 생기를 너희에게 들어가게 하리니 너희가 살아나리라.” 이 말씀은 단지 유대 민족의 회복에 대한 상징이 아니라, 부활의 복음이 구약의 예언 안에 어떻게 담겨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예언입니다. 이 부활의 예언은 단순히 상징적 위로에 그치지 않고, 하나님의 영이 어떻게 절망의 자리에 생명을 불어넣는지를 보여주는 구속사적 메시지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의 생기가 죽음의 자리에 임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성경묵상 2025. 4. 14.

로마서 1장 4절,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부활 주일을 맞이하여 우리는 로마서 1장 4절의 말씀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신앙의 핵심 진리임을 다시금 깊이 묵상합니다. "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시니라." 이 말씀은 예수님의 신성과 부활의 관계, 그리고 그분이 누구이신지를 교리적으로 분명하게 증거하는 선언입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바탕으로 예수님의 부활이 단지 죽음을 이긴 사건이 아니라, 그분의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계시라는 사실을 붙들고자 합니다. 이 부활은 신앙의 출발점이며, 동시에 모든 구원의 근거가 됩니다.죽음을 이기신 부활, 그 선언의 본질사도 바울은 로마서 서두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복음을 밝히며, 그분의 .. 성경묵상 2025. 4. 14.

요한복음 6장 40절,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리라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리라요한복음 6장 40절은 예수님께서 생명의 떡에 대해 가르치시면서 하신 말씀 중 가장 핵심적이며 결정적인 선언 중 하나입니다. “내 아버지의 뜻은 아들을 보고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는 이것이니 마지막 날에 내가 이를 다시 살리리라.” 이 말씀은 단순히 한 개인의 신앙에 대한 위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뜻과 구속사적 경륜, 그리고 장차 이루어질 부활의 영광을 담고 있는 교리적 진술입니다. 부활 주일에 우리는 이 말씀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의 길로 이어지는지, 믿음이 어떻게 영생에 이르게 하는지, 그리고 부활이 단지 미래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의 소망이며 능력으로 작용하는지를 깊이 묵상하고자 합니다. 본문은 하나님의 뜻, 현재의 생명, 장래의 부.. 성경묵상 2025. 4. 14.

요한복음 3장 16절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신 사랑, 생명을 이루신 구속요한복음 3장 16절은 복음 전체를 압축한 말씀이며,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이루는 선언입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니고데모와의 대화 가운데 직접 하신 말씀으로, 구속사의 흐름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이 어떻게 이뤄질지를 분명히 가르쳐 줍니다. 부활 주일에 우리는 이 말씀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사랑, 예수님의 대속과 부활,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믿는 자에게 주어진 생명에 대해 교리적으로 깊이 있게 묵상하고자 합니다.하나님의 사랑, 구원의 뿌리예수님은 니고데모에게 하나님 나라를 보는 길은 거듭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고, 그 거듭남은 물과 성령으로 이루어짐을.. 성경묵상 2025. 4. 14.

고난주간 화요일 행적정리, 진리를 밝히신 예수님의 권위

고난주간 화요일, 진리를 밝히신 예수님의 권위고난주간의 화요일은 예수님의 공적 사역 가운데 가장 많은 말씀과 논쟁, 그리고 비유들이 기록된 날입니다. 이 날은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마지막 교훈의 날이자, 예수님께서 종교지도자들과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어떠한 것인지를 분명히 밝히시는 날이기도 합니다. 예수님은 무화과나무 저주의 성취를 보여주셨고, 성전에서 권위에 대한 도전을 받으셨으며, 다양한 비유를 통해 이스라엘의 불신앙을 책망하시고, 장차 올 심판과 종말에 관한 깊은 가르침을 주셨습니다. 이 모든 말씀은 단지 당시 청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늘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음성입니다. 말씀을 따라 이 하루를 찬찬히 걸으며, 우리도 주님 앞에 바로 서기를 소망합니다.마른 무화과나무를 보며 믿음을.. 성경묵상 2025.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