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종교별 칭의 성화 영화의 개념 차이
기독교 종교별 칭의 성화 영화의 개념 차이
칭의(Justification), 성화(Sanctification), 영화(Glorification)라는 개념은 기독교 신학 전반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구원론 용어입니다. 그러나 교단이나 신학적 전통에 따라 강조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개신교 (특히 개혁주의와 루터교)
- 칭의(Justification): 오직 믿음(Sola Fide)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고 선언되는 것을 강조합니다. 루터와 칼빈 등 종교개혁가들이 강조했으며, 로마서 3:28을 근거로 인간의 행위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가르칩니다.
- 성화(Sanctification): 칭의를 받은 신자가 성령의 역사로 인해 점진적으로 거룩해지는 과정으로 설명됩니다. 개혁주의에서는 성화를 칭의의 열매로 간주하며, 율법을 통한 순종이 성화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 영화(Glorification): 예수님의 재림 때 신자가 부활하여 완전한 상태에 이르는 최종적인 구원의 단계로 설명됩니다.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1647년): 개혁주의 신학에서 칭의, 성화, 영화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는 대표적인 신앙고백입니다.
2. 로마 가톨릭
- 칭의(Justification): 믿음뿐만 아니라 세례와 선행이 포함된 개념으로 설명됩니다.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에서는 칭의가 단순한 법적 선언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내면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성화(Sanctification): 가톨릭에서는 성화가 곧 구원의 과정 전체를 의미하며, 신자의 협력(선행과 성례전 참여)이 중요합니다.
- 영화(Glorification): 최후의 심판 이후 성도들이 천국에서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하는 상태로 설명됩니다.
📖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 가톨릭 교회는 칭의를 순간적인 것이 아니라, 성화와 함께 지속되는 과정으로 이해하며, 선행과 성례전(특히 미사와 고해성사)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르칩니다.
3. 동방 정교회
- 칭의(Justification): 서방 교회(가톨릭과 개신교)처럼 법적 선언의 개념보다는 치유와 변화를 강조합니다. 정교회에서는 인간이 하나님의 신성에 참여하는 신격화(Θέωσις, Theosis, Theōsis) 과정의 일부로 칭의를 이해합니다.
- 성화(Sanctification): 정교회에서는 성화를 강조하며, 이는 곧 신자가 하나님의 은혜로 변화되고 거룩해지는 지속적인 과정입니다. 성사는 성화의 중요한 도구로 여겨집니다.
- 영화(Glorification): 정교회에서는 영화가 곧 신자가 하나님과 연합하는 신격화(Theosis) 과정의 최종 단계로 간주됩니다.
📖 필로칼리아(Philokalia, 18세기 편찬): 동방 정교회의 영적 훈련과 신격화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성화와 영화의 개념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문헌입니다.
4. 웨슬리안(감리교, 성결교, 오순절)
- 칭의(Justification): 개신교 개혁주의와 마찬가지로 오직 믿음(Sola Fide)으로 받지만, 칭의 후의 성화가 더욱 강조됩니다.
- 성화(Sanctification): 웨슬리안 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감리교와 성결교, 오순절 교단에서는 ‘완전 성화’(Entire Sanctification)라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성령의 능력을 통해 신자가 죄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고 봅니다.
- 영화(Glorification): 완전한 거룩함에 도달하는 상태로 이해되며, 종말론적으로는 최후의 부활과 하나님과의 완전한 연합을 의미합니다.
📖 존 웨슬리(1703~1791년)의 "기독교의 완전": 웨슬리는 신자가 이 땅에서도 성령을 통해 ‘완전한 사랑’(Perfect Love)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5. 오순절 교회와 성령운동
- 칭의(Justification): 개혁주의와 유사하게,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는다고 가르칩니다.
- 성화(Sanctification): 성령의 역사 속에서 신자가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특히 성령세례(Baptism in the Holy Spirit)를 성화의 중요한 요소로 봅니다.
- 영화(Glorification): 영화는 예수님의 재림과 신자의 부활을 통해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하나님과 영원히 거하는 상태입니다.
📖 A.G. 심슨(1843~1919년), 오순절 성결운동: 성령세례가 성화 과정에서 필수적이며, 초자연적인 은사(방언, 예언 등)가 성화를 증명하는 요소라고 보는 신학적 전통이 있습니다.
결론
칭의, 성화, 영화는 기독교의 중요한 구원론 개념으로, 개신교(특히 개혁주의), 가톨릭, 동방 정교회, 웨슬리안 전통, 오순절 운동 등에서 다소 다른 강조점으로 사용됩니다. 개혁주의와 루터교는 칭의를 구원의 핵심으로 강조하며, 성화는 칭의의 결과라고 보지만, 가톨릭과 정교회는 성화를 구원의 과정으로 포함하여 칭의와 성화를 함께 진행되는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웨슬리안과 오순절 교회는 성화를 매우 강조하며, 성령의 역사 속에서 신자가 완전한 거룩함에 이를 수 있다고 가르치기도 합니다. 이 개념들은 모두 구원의 과정에서 하나님께서 신자를 변화시키시는 중요한 단계를 설명하는 핵심 교리로, 각 신학 전통에 따라 다르게 강조되지만 본질적으로 모두 성경적 구원론에 기초하고 있습니다.